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대회 진행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선수단의 경기 일정 및 결과에 대한 내용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대한민국 문서
4번 문단을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대한민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주요 정보유치 과정 · 경기 종목 · 선수 목록 · 대회 진행 (개막식 · 폐막식) · 대한민국 대표팀 · 평가
문제점 및 사건 사고 (대규모 외교적 보이콧 · 문화공정 논란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 (반응) · 카밀라 발리예바 도핑 적발 사건)
개별 종목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피겨 스케이팅 ·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컬링 픽토그램.svg 컬링 ·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루지 픽토그램.svg 루지 ·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아이스하키 픽토그램.svg 아이스하키
대회 관련 기타 문서
마스코트
빙둔둔 ·
주경기장
베이징국가체육장 ·
패럴림픽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
개막 선언자
시진핑 ·
성화 점화자
디니걸 이라무장 · 자오자원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로고_White.svg一起向未来
Together For a Shared Future
함께하는 미래로
||

파일: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로고.svg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
[ 펼치기 · 접기 ]

주요 정보유치 과정 · 대한민국 대표팀
대회 관련 기타 문서
마스코트
쉐룽룽 ·
주경기장
베이징국가체육장 ·
올림픽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개막 선언자
시진핑 ·
성화 점화자
리두안
파일: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로고_White.svg一起向未来
Together For a Shared Future
함께하는 미래로
||



1. 개요
1.1. 작성 규칙
2. 범례
3. 일정
3.1. 사전경기 (2월 2~3일)
3.1.1. 2월 2일, 수요일
3.1.2. 2월 3일, 목요일
3.2. 사전경기&개막식 (2월 4일, 금요일)
3.3. 1일차 (2월 5일, 토요일)
3.4. 2일차 (2월 6일, 일요일)
3.5. 3일차 (2월 7일, 월요일)
3.6. 4일차 (2월 8일, 화요일)
3.7. 5일차 (2월 9일, 수요일)
3.8. 6일차 (2월 10일, 목요일)
3.9. 7일차 (2월 11일, 금요일)
3.10. 8일차 (2월 12일, 토요일)
3.11. 9일차 (2월 13일, 일요일)
3.12. 10일차 (2월 14일, 월요일)
3.13. 11일차 (2월 15일, 화요일)
3.14. 12일차 (2월 16일, 수요일)
3.15. 13일차 (2월 17일, 목요일)
3.16. 14일차 (2월 18일, 금요일)
3.17. 15일차 (2월 19일, 토요일)
3.18. 16일차&폐막식 (2월 20일, 일요일)



1. 개요[편집]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대회 일정 및 경기 결과를 기재한 문서. 본 문서의 모든 시각은 중국 표준시 UTC+08:00(CST) 기준이며, 대한민국 표준시(KST)보다 1시간 느리다.[1]


1.1. 작성 규칙[편집]



* 종목 순서는 가나다 순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결선 경기 종료 후 각 종목별 금, 은, 동 수상자 및 국적을 작성하되, 경기 기록은 작성하지 않습니다.

* 구기 종목(컬링, 아이스하키)은 스코어를 함께 작성하고, 이긴 측을 볼드체 처리 합니다.

* 세계신기록 혹은 올림픽신기록인 경우 아래 범례의 표지를 추가합니다.

* 기상상황 악화 등의 요인으로 경기가 다른 날짜로 연기되었을 경우, 원래 일정에 취소선 처리를 하고, 옮긴 일정에는 주석처리로 연기된 경기임을 표시합니다.



2. 범례[편집]


MEDAL - 금메달경기

MEDAL - 동메달경기

WR - 세계신기록

OR - 올림픽신기록



3. 일정[편집]



3.1. 사전경기 (2월 2~3일)[편집]



3.1.1. 2월 2일, 수요일[편집]





3.1.2. 2월 3일, 목요일[편집]






3.2. 사전경기&개막식 (2월 4일, 금요일)[편집]





3.2.1. 개막식[편집]



3.3. 1일차 (2월 5일, 토요일)[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월 5일 대한민국 선수단의 경기 일정 및 결과에 대한 내용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대한민국 문서
4.3번 문단을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대한민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MEDAL
금메달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MEDAL
은메달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MEDAL
동메달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MEDAL
금메달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MEDAL
은메달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EDAL
동메달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MEDAL
금메달

우르샤 보가타이(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MEDAL
은메달

카타리나 알트하우스(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MEDAL
동메달

니카 크리주나르(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MEDAL
금메달

이레너 스하우턴(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56:93 OR
MEDAL
은메달

프란치스카 롤로브리지다(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EDAL
동메달

이저벨 와이더먼(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MEDAL
금메달

테레세 요헤우(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MEDAL
은메달

나탈리야 네프랴예바(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MEDAL
동메달

테레자 슈타트로버(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MEDAL
금메달

발테르 발베리(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미카엘 킹즈버리(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호리시마 이쿠마(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3.4. 2일차 (2월 6일, 일요일)[편집]




요하네스 루트비히(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볼프강 킨들(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도미닉 피슈날러(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조이 새도스키시넛(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줄리아 마리노(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테스 코디(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고바야시 료유(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마누엘 페트너(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다비드 쿠바츠키(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닐스 판데르풀(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6:08:84 OR
패트릭 루스트(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할게이르 엥에브로텐(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알렉산드르 볼슈노프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데니스 스피초프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이보 니스카넨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자카라 앤서니(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제일린 커프(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아나스타시야 스미르노바(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3.5. 3일차 (2월 7일, 월요일)[편집]





데니제 헤르만(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아나이스 슈발리에부셰(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르테 뢰이세란(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아리안나 폰타나(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킴 부탱(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런쯔웨이(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리원룽(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리우 샤오앙(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맥스 패럿(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쑤이밍(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마크 맥모리스(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이레인 뷔스트(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타카기 미호(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안투아네터 더용(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베아트 포이츠(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요한 클라레(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티아스 마이어(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사라 헥토르(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페데리카 브리고네(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라라 구트-베라미(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3.6. 4일차 (2월 8일, 화요일)[편집]




나탈리 가이센베르거(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아나 베라이터(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타티야나 이바노바(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캉탱 피용 마이예(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안톤 스몰스키(벨라루스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요한네스 팅네스 뵈(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에스테르 레테츠카(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다니엘라 울빙(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글로리아 코트니크(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베냐민 카를(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팀 마스트나크(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빅 와일드(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키엘트 나위스(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43.21 OR
토마스 크롤(네덜란드 파일: 네덜란드 국기.svg)
김민석(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마티아스 마이어(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라이언 코크런시글(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산더 오모트 킬데(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조나 순들링(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마야 돌크비스트(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제시 디긴스(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요한네스 회스플로트 클레보(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페데리코 펠레그리노(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렉산드르 테렌티예프(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구아이링(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테스 르되(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틸드 그르모(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3.7. 5일차 (2월 9일, 수요일)[편집]




빈첸츠 가이거(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요르겐 그라박(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루카스 그라이더르(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토비아스 벤들/토비아스 아를트(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토니 에거트/사샤 베네켄(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토마스 스테우/로렌츠 콜러(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린지 자코벨리스(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클로이 트레스푸흐(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메레타 오딘(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페트라 블로바(슬로바키아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카타리나 린스베르거(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웬디 홀데네르(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비르크 루드(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콜비 스티븐슨(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헨리크 하를라트(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3.8. 6일차 (2월 10일, 목요일)[편집]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클로이 김(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케랄트 카스텔레트(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도미타 세나(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알레산드로 헤멀레(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엘리오트 그롱댕(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오마르 비신틴(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레네 슈하우텐(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이자벨 와이드먼(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르티나 사블리코바(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요하네스 스트롤츠(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알렉산더 오모트 킬데(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제임스 크로퍼드(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레세 요헤우(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케르투 니스카넨(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크리스타 파르마크스키(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네이선 첸(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카기야마 유마(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3.9. 7일차 (2월 11일, 금요일)[편집]




마르테 올스부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엘비라 외베리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도로테아 비러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최민정(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하너 데스멋(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히라노 아유무(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스코티 제임스(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얀 셰러(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크리스토퍼 그로테어(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악셀 융크(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옌원강(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최초의 스켈레톤 올림픽 메달이자, 아시아 두번째 스켈레톤 올림픽 메달이다.


닐스 반데르풀(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12:30.74 WR OR
패트릭 루스트(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다비데 기오토(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라라 구트베라미(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미리암 푸흐너(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미셸 기신(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이보 니스카넨(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알렉산더 볼슈노프(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요하네스 회스플로트 클레보(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3.10. 8일차 (2월 12일, 토요일)[편집]




요하네스 팅네스 뵈(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캉탱 피용 마이예(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타리에이 뵈(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하나 나이제(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재클린 내러콧(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킴벌리 보스(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마리우스 린비크(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코바야시 료유(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카를 가이거(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가오팅위 {{{#2b579e OR}}}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차민규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모리시게 와타루(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3.11. 9일차 (2월 13일, 일요일)[편집]




마르테 올스부(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엘비라 외베리(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티릴 에코프(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캉탱 피용 마이예(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타리에이 뵈(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에두아르드 라티포프(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에린 잭슨(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타카기 미호(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안겔리나 골리코바(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마르코 오더마트(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잔 크라니에츠(슬로바키아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마티외 파브레(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3.12. 10일차 (2월 14일, 월요일)[편집]




카일리 험프리스(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엘라나 마이어스(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틴 드 브륀(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쉬멍타오(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한나 후스코바(벨라루스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매건 닉(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3.13. 11일차 (2월 15일, 화요일)[편집]




예르겐 그로바크(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옌스 루로스 오프테브로(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와타베 아키토(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프란체스코 프리드리히(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요하네스 로크너(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크리스토프 하퍼(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안나 가서(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조이 새도스키시넛(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무라세 코코모(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쑤이밍(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몬스 뢰이슬란(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맥스 패럿(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코린 주터(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소피아 고자(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나디아 델라고(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틸드 그르모(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구아이링(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켈리 실다루(에스토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3.14. 12일차 (2월 16일, 수요일)[편집]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최민정(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아리안나 폰타나(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클레망 노엘(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요하네스 슈트롤츠(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세바스티안 포스솔레보그(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알렉산더 홀(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니컬러스 게퍼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예스페르 셰데르(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치광푸(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올렉산드르 아브라멘코(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일리야 부로프(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3.15. 13일차 (2월 17일, 목요일)[편집]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타카기 미호(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유타 레이르담(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리트니 보(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셸 지생(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웬디 홀데네르(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페데리카 브리고네(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산드라 네슬룬드(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마리엘 톰슨(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니엘라 마이어(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3.16. 14일차 (2월 18일, 금요일)[편집]




쥐스틴 브레자(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티릴 에코프(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마르테 올스부(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요한네스 팅네스 뵈(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마르틴 폰실루오마(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베틀레 샤스타 크리스티안센(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토마스 크롤(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랑 뒤브뢰유(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호바르 로렌첸(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구아이링(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캐시 샤프(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레이철 카커(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라이언 레게츠(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알렉스 피바(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르게이 리지크(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3.17. 15일차 (2월 19일, 토요일)[편집]




로라 놀테(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마리아마 야망카(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엘라나 마이어스(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바르트 스빙스(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정재원(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훈(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레너 스하우턴(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이바니 블롱댕(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프란체스카 롤로브리지다(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알렉산드르 볼슈노프(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이반 야키무시킨(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시멘 헥스타 크뤼게르(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니코 포티어스(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데이비드 와이즈(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스 페레이라(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3.18. 16일차&폐막식 (2월 20일, 일요일)[편집]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프란체스코 프리드리히(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요하네스 로크너(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저스틴 크립스(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세 요헤우(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제시 디긴스(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케르투 니스카넨(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3.18.1. 폐막식[편집]



[1] 아래 경기 시각에 +1시간을 하면 한국 현지 시각이 된다.[ROC]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러시아는 도핑 스캔들로 인한 징계 때문에 국가자격으로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출전할 수 없다. 러시아 출신 선수는 러시아올림픽위원회(Russian Olympic Committee)의 약자인 ROC로 표기하여 출전한다.[2] 국내 지상파 3사의 첫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중계는 이 경기부터 시작되며, 10시 45분부터 중계방송이 시작된다.[3] 이번 올림픽에서 가장 먼저 메달 수상자가 결정되는 종목[연기] A B [4] 강풍으로 인해 2/7 12:00로 변경[변경] A B [5] 강풍 문제로 2/6에서 일정 변경[6] MBC기분 좋은 날을 비롯한 주요 프로그램들이 장기간 올림픽으로 결방했거나 방송일수가 확 줄어들어서 오전시간에 별다른 중계가 없는 반면 KBSSBS는 해당 경기도 중계를 해준다.[7] 스몰 파이널 경기 직전 기술적인 문제로 경기가 4분 가량 지연되었다.[8] 기상악화로 2/20로 연기되었음[9] 기상악화로 인해 30km로 축소되었다.[10] 이번 올림픽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메달수상자가 결정된 종목[11] 본래 이번 올림픽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메달수상자가 결정되는 종목이었으나, 기상 문제로 인해 출발 시간이 앞당겨져 아이스하키가 그 타이틀을 가져갔다.